내가 오늘 듣는 음악

호아저씨가 들은 음악 - 2015년 7월 28일

들꽃 호아저씨 2015. 7. 28. 20:19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 (Modest Mussorgsky)

1839년 3월 21일 - 1881년 3월 28일

 

1. 바흐: 마태 수난곡 BWV244

크리스토프 프레가리디앵 (Christoph Pregardien) 테너, 토비아스 베른트 (Tobias Berndt) 바리톤, 다미엥 기용 (Damien Guillon) 카운터테너, 도로시 밀즈 (Dorothee Mields) 소프라노, 하나 블라치코바 (Hana Blazikova) 소프라노, 헨트 콜레기움 보칼레 합창단과 오케스트라 (Choir and Orchestra of Collegium Vocale Gent), 필립 헤레베헤 (Philippe Herreweghe)

https://www.youtube.com/watch?v=jm1os4VzTgA

 

2. 바흐: 칸타타 BWV113, BWV179, BWV199

막달레나 코체나 (Magdalena Kozena) 소프라노, 윌리엄 타워 (William Tower) 알토, 마크 패드모어 (Mark Padmore) 테너, 스테판 로지스 (Stephan Loges) 바리톤, 몬테베르디 합창단 (Monteverdi Choir), 영국 바로크 솔로이스츠 (English Baroque Soloists), 존 엘리엇 가디너 (John Eliot Gardiner)

https://www.youtube.com/watch?v=_LyhtmnY914

 

* 칸타타 (Cantata): 이탈리아어 'cantare (노래하다)'에서 나온 말. 기악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는 성악곡으로 17~18세기 바로크 시대에 널리 유행하고 발전하였다. 여러 악장으로 구성하며, 합창, 독창이 번갈아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오페라와 다르게 연극 요소는 없다. 칸타타에는 바흐가 작곡한 '커피 칸타타'처럼 일상 이야기를 다루는 세속 칸타타와 위에 소개한 칸타타처럼 신을 찬양하는 종교 칸타타가 있다.

 

3. 바흐: 부활절 오라토리오

한나 모리슨 (Hannah Morrison) 소프라노, 멕 브레이글 (Mag Bragle) 메조 소프라노, 니콜라스 멀로이 (Nicholas Mulroy) 테너, 피터 하비 (Peter Harvey) 바리톤, 몬테베르디 합창단 (Monteverdi Choir), 영국 바로크 솔로이스츠 (English Baroque Soloists), 존 엘리엇 가디너 (John Eliot Gardiner)

2013년 BBC 프롬스 공연

https://www.youtube.com/watch?v=tWcpB15Ta2w

 

* 오라토리오: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를 기악 반주와 함께 노래하는 성악곡. 성격은 오페라와 비슷하지만, 무대 연출이나 연기, 의상이 없다. 주로 성악 독창, 합창, 오케스트라 연주가 번갈아 가며 연주한다. 여기 소개한 마태 수난곡처럼 종교 이야기를 많이 다루지만, 영웅 이야기나 신화처럼 세속 오라토리오도 있다.

 

4. 모차르트: 레퀴엠

샹젤리제 오케스트라 (Orchestre des Champs-Elysees), 헨트 콜레기움 보칼레 (Collegium Vocale Gent), 필립 헤레베헤 (Philippe Herreweghe)

https://www.youtube.com/watch?v=6MSWq_MD7I4

 

* 레퀴엠 (즐방사전):

 

5. 모차르트: 세레나데 ‘작은 밤 음악’ (Eine kleine Nachtmusik)

콘서트헤보우 실내악단 (Concertgebouw Kamerorkest)

https://www.youtube.com/watch?v=QZWKUszkbXU

 

* 세레나데 (또는 세레나타): 저녁에 연주하는 노래라는 뜻으로 보통 어떤 이에게 바치는 음악을 말한다. 세레나데에는 크게 세 종류가 있다. 우선 중세에서 르네상스 시대에 등장하는 세레나데는 ‘로미오와 줄리엣’의 한 장면처럼 사랑하는 사람이 잠든 방 창 밑에서 그이 마음을 사려고 부르는 아름다운 사랑 노래이다. 바로크 음악에서 세레나데는 저녁에 기악 반주에 맞춰 야외에서 부르는 노래를 뜻한다.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로 넘어가면서 세레나데는 가볍게 듣는 디베르티멘토 형태로 변한다.

 

6. 그리그: 페르 귄트 모음곡 1번, 2번

RTVE 심포니 오케스트라 (Orquesta Sinfonica de RTVE), 길레르모 가르시아 칼보 (Guillermo Garcia Calvo)

https://www.youtube.com/watch?v=O2gDFJWhXp8

 

 

7. 림스키코르사코프: 셰헤라자데

빈 필하모닉 (Wiener Philharmoniker), 발레리 게르기에프 (Valery Gergiev)

2005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공연

https://www.youtube.com/watch?v=SQNymNaTr-Y

 

8. 무소르그스키: 전람회 그림 (라벨이 편곡한 관현악 편성곡)

바이에른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Bavarian Radio Symphony Orchestra), 마리스 얀손스 (Mariss Jansons)

https://www.youtube.com/watch?v=wSumsdfyiv8

 

 

 

9. 생상스: 동물 사육제

자그레브 음악원 코모르니 앙상블 (Komorni Ansambl Muzicke Akademije u Zagrebu)

https://www.youtube.com/watch?v=wBGEf4urGNo

 

10. 스트라빈스키: 봄 잔치

라디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Radio Filharmonisch Orkest), 얍 반 즈베덴 (Jaap van Zweden)

https://www.youtube.com/watch?v=5UJOaGIhG7A

 

 

11. 스트라빈스키: 불새

WDR 심포니 오케스트라 (WDR Symphony Orchestra), 유카-페카 사라스테 (Jukka-Pekka Saraste)

https://www.youtube.com/watch?v=0w_Ajiyw_0k

 

12. 시벨리우스: 핀란디아

헬싱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Hensinki Philharmonic Orchestra), 핀란드 방송 교향악단 (Radio Symphony Orchestra), 유카-페카 사라스테 (Jukka-Pekka Saraste)

https://www.youtube.com/watch?v=qOSaT6U4e-8

 

13. 차이콥스키: 1812 서곡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Leningrad Philharmonic), 이작 펄만 (Itzhak Perlman)

https://www.youtube.com/watch?v=cEkTZ5zlGRw

 

14. 차이콥스키: 이탈리아 카프리치오

모스크바시 러시아 필하모닉 심포니 (Moscow City Symphony "Russian Philharmonic"), 미카일 주로프스키 (Michail Jurowski)

https://www.youtube.com/watch?v=Ce5qmAj9XX4

 

* 카프리치오 (Capriccio): 망상, 환상, 변덕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capriccio'를 딴 음악 형식. 주로 자유로운 틀 안에서 빠르고 기교가 많이 들어간 짧은 곡을 뜻한다.

 

15. 차이콥스키: 슬라브 행진곡

러시아 국립 오케스트라 (Russian National Orchestra), 미카일 플레트네프 (Mikhail Pletnev)

2005년 10월 26일 러시아 국립 오케스트라 15주년 공연

https://www.youtube.com/watch?v=GSf8uF5UE-U

 

16. 차이콥스키: 교향곡 5번

오슬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Oslo Philharmonic Orchestra), 바실리 페트렌코 (Vasily Petrenko)

https://www.youtube.com/watch?v=JUk0WZVCnk4

 

17.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

라디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Radio Filharmonisch Orkest), 아이빈 굴베르크 옌센 (Eivind Gullberg Jensen)

https://www.youtube.com/watch?v=SvuitFzDxDg

 

18. 슈만: 교향곡 4번

프랑크푸르트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hr-Sinfonieorchester), 필립 헤레베헤 (Philippe Herreweghe)

https://www.youtube.com/watch?v=Fq98d0JOiKQ

 

19. 슈베르트: 교향곡 8번 ‘미완성’

레 뮤지시엥 뒤 루브르 (Les Musiciens du Louvre), 마크 민코프스키 (Marc Minkowski)

https://www.youtube.com/watch?v=jxVizl5Ewmg

 

20. 베토벤: 교향곡 3번 ‘영웅’

18세기 오케스트라 (Orchestra of the 18th Century), 프란츠 브뤼겐 (Frans Bruggen)

https://www.youtube.com/watch?v=JQT8Fi09Ng4

 

21. 파헬벨: 캐논 (Canon)

보이스 오브 뮤직 (Voices of Music)

https://www.youtube.com/watch?v=JvNQLJ1_HQ0

 

22. 라벨: 볼레로

뮌헨 필하모닉 (Munchen Philharmoniker), 세르주 첼리비다케 (Sergiu Celibidache)

https://www.youtube.com/watch?v=rGy2BB87gug

 

23. 베토벤: 교향곡 6번 ‘들판’

RTVE 심포니 오케스트라 (Orquesta Sinfonica de RTVE), 세르주 첼리비다케 (Sergiu Celibidache)

1970년 11월 29일 마드리드 극장 공연

https://www.youtube.com/watch?v=NUGvVepJFxk

 

24. 드뷔시: 바다 (La Mer)

뉴욕 필하모닉 (New York Philharmonic), 피에르 불레즈 (Pierre Boulez)

https://www.youtube.com/watch?v=5XVHLO9k3HI

 

25. 홀스트: 행성 (The Planets)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Philadelphia Orchestra), 유진 오만디 (Eugene Ormandy)

1977년 연주

https://www.youtube.com/watch?v=YtphY-4xjQ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