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닌 드보르자크Antonin Dvorak (1841- 1904)
현악사중주 12번 ‘아메리카’String Quartet "American" No.12, Op.96
I. Allegro ma non troppo
II. Lento
III. Molto vivace
IV. Finale: vivace ma non troppo
파벨 하스 사중주단Pavel Haas Quartet
https://www.youtube.com/watch?v=cb3jPORwL74&list=RDcb3jPORwL74&start_radio=1&rv=cb3jPORwL74&t=0
한 해 두 해 책임은 더 무거운데 마음은 심란하고 착잡하다.
계륵(鷄肋) : 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양수전(楊修傳)>에 나오는 말이다.
착잡(錯雜) : 갈피를 잡을 수 없이 뒤섞여 어수선함.
저녁이면 대개 한잔씩 나누게 되는 친구와의 술자리도, 사실은 이 착잡과 소음과 먼지에 비겨 결코 더 위안이 되는 것이 아니다.≪김동리, 실존무≫
'내가 오늘 듣는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토벤 피아노소나타 29번 ‘함머클라비어’ : 그리고리 소콜로프 (0) | 2021.08.15 |
---|---|
멘델스존 교향곡 3번 ‘스코틀랜드’ : 로버트 트레비노 (0) | 2021.08.15 |
드보르자크 교향곡 9번 ‘신세계에서’ : 세르주 첼리비다케 - 각주(脚註)/김남주 (0) | 2021.08.15 |
하이든 피아노소나타 32번, 47번, 49번, 슈베르트 즉흥곡 넷 : 그리고리 소콜로프 (0) | 2021.08.15 |
바흐 파르티타 1번, 베토벤 피아노소나타 7번, 슈베르트 피아노소나타 14번, 악흥의 순간 여섯 : 그리고리 소콜로프 (0) | 202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