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바뀌었다'를 '바꼈다'로 줄여 쓰는 건 잘못
맞춤법은 각각의 단어를 아는 것보다 원리원칙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앞에서 살폈듯이 어간의 모음 '이' 뒤에 어미 '-어'가 오면
'-여'로 줄어드는 게 우리말 일반 원칙이다.
“전화번호가 OOO-××××로 바꼈어요.” “그는 그녀와 중학교 때부터 사겼다고 한다.” “그 여자는 내 말에 콧방귀만 꼈다.” 이런 말에는 공통적인 오류가 들어 있다. ‘바꼈어요, 사겼다고, 꼈다’가 그것이다. 각각 ‘바뀌었어요, 사귀었다고, 뀌었다’를 잘못 썼다.
한글 모음자에 ‘ㅜ+ㅕ’ 없어 더 이상 줄지 않아
이들의 기본형은 ‘바뀌다, 사귀다, 뀌다’이다. 공통점은 어간에 모두 모음 ‘ㅟ’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뒤에 모음 어미 ‘-어’가 붙을 때 줄어들지 않는, 우리말의 독특한 모음 체계 한 가지를 보여준다.
얼핏 보기에 ‘바뀌+어→바껴’로 줄어들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모음끼리 어울려 ‘-여’로 바뀌는 것은 어간 ‘이’와 어미 ‘-어’가 결합할 때다(한글맞춤법 제36항). ‘가지어→가져, 견디어→견뎌, 막히어→막혀’ 같은 무수한 말들이 모두 그렇게 줄었다. 그러면 예의 ‘바뀌다, 사귀다’ 등에 어미 ‘-어’가 어울리면 어떻게 바뀔까? ‘~이어→~여’의 원리를 적용하면 ‘ㅟ어→(ㅜㅕ)’, 즉 ‘바(꾸ㅕ), 사(구ㅕ)’쯤 될 것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우리 모음 체계에는 이를 나타낼 글자가 없다. 컴퓨터 자판으로도 조합이 안 돼 두 글자로 써야 할 판이다.
이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당시부터 없던 것이다. 한글 자모는 자음 14개, 모음 10개로 24자다. 모음만 보면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이다. 이 10개 모음자로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세 개를 합쳐 적는데, 그것은 ‘애, 얘, 에, 예, 와, 왜, 외, 워, 웨, 위, 의’ 11자다(한글맞춤법 제4항). 즉 모음으로 적을 수 있는 글자는 모두 21개라는 뜻이다. 여기에 ‘ㅟ+어’가 어울려 생길 만한 ‘(ㅜㅕ)’란 글자는 없다. 결국 ‘바뀌어, 사귀었다, 뀌었다’ 등은 더 이상 줄어들지 않는다는 뜻이다. 표기할 글자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실제 발음상으로는 이를 줄여 말하곤 한다. 이런 모순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국어학계 일각에서는 “모음자 ‘ㅜㅕ’를 도입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이동석 한국교원대 국어교육과 교수. <말과글> 2017년 여름호)
‘적지 않다’가 줄면 ‘적쟎다’ 아닌 ‘적잖다’로
맞춤법은 각각의 단어를 아는 것보다 원리원칙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앞에서 살폈듯이 어간의 모음 ‘이’ 뒤에 어미 ‘-어’가 오면 ‘-여’로 줄어드는 게 우리말 일반 원칙이다. 그러다 보니 ‘귀찮다’도 ‘귀챦다’로 적는 것으로 아는 이가 꽤 있다. ‘귀하지 아니하다→귀치 않다→귀챦다’로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치상으로는 맞는 말이다. 실제로 현행 맞춤법(1988년)이 시행되기 전에는 그렇게 적었다. 하지만 지금은 틀린 표기다. ‘귀찮다’로 적어야 한다. 이는 줄어진 형태가 또 하나의 단어가 된 경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태여 그 원형과 결부시켜 준 과정의 형태를 밝힐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소리 나는 대로 ‘-잖다’ ‘-찮다’로 적기로 했다. 맞춤법 제39항에 나오는, 준말의 여러 규정 중 하나다. ‘같잖다, 달갑잖다, 마뜩잖다, 시답잖다, 어쭙잖다, 적잖다, 괜찮다, 변변찮다, 편찮다’ 등과 같은 말이 이 같은 원리로 단어가 돼 사전에 올랐다.
이 원리를 알고 있으면, 나머지 말들은 여기에 준해 쓰면 된다. 모든 단어를 사전에 올릴 수는 없기 때문이다. 가령 “두렵지 않다” “그렇지 않아”를 줄이면 ‘두렵잖다’ ‘그렇잖아’가 되는 식이다.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http://hymt4@hankyung.com
[바른말 광] 사겼던 사람이 할켜?
무슨 일이든 처음이 어려운 법이다. 경험이 없어 어렵고, 실수가 잦아서 어렵다.
부산에 '항도일보'라는 신문이 있었다. 1989년 창간됐는데 한때 자매지로 경제신문까지 발행하다가 폐간됐다. 한데, 이 신문 창간 초기에 1면 제목이 이렇게 나온 적 있다.
<낙동강하구 지형이 바꼈다>
물론 창간한 지 얼마 안 돼 어수선한 때문이었겠지만, 신문의 얼굴이라 할 1면에서 제목이 그만 엉터리로 나간 것이었다. '바른말 광' 독자라면 뭐가 잘못됐는지는 아실 터. 바로 '바꼈다'라는 서술어가 문제였다. '바뀌었다'라는 말은 더 줄일 수 없다. '바꼈다'로 쓰면 안 된다는 얘기다.
'-꼈-'을 분석하면 '끼+었'으로 나뉜다. 그러니 '베꼈다, 비꼈다'는 '베끼다, 비끼다'에 과거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었-'이 결합('베끼었다, 비끼었다')한 뒤 줄어든 꼴이다. 마찬가지로 '들켰다, 삼켰다, 시켰다'도 '들키다, 삼키다, 시키다'를 활용한 것. 이는 모두 한글 맞춤법 제36항('ㅣ' 뒤에 '-어'가 와서 'ㅕ'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귀-, -퀴-'에 '-었-'이 결합할 땐 더 줄일 수 없다. 즉 '사귀다, 지저귀다'는 선어말 어미와 결합하면 '사귀었다, 지저귀었다'로만 활용될 뿐, '사겼다, 지저겼다'로 줄어들지는 않는다. 쉽게 말해 'ㅟ' 다음에 '어'가 올 때 줄여 쓸 수 없다는 것.
사실이 그렇다. '나뉘었다, 뉘었다, 휘었다'를 대체 어떻게 더 줄일 것인가. 그런 까닭에 '바뀌었다'도 '바꼈다'로 줄이면 안 되는 것이다. '쥐었다'도 마찬가지. 이걸 잘못 줄여 '졌다'로 쓰면 말뜻이 확 바뀐다.
<실종·침수·결항·휴교…태풍 에위니아 전국 할켜>
어느 신문에 실린 제목인데, 여기 나온 '할켜' 역시 잘못이다. '할퀴다'도 '할퀴었다'로 쓸 뿐, 더 줄일 수는 없다.
여담인데, 태풍이 우리나라를 할퀴었다면 우리나라가 당한 그 상태를 어떻게 써야 할까. 할큄을 당했다? 할퀴어지다? 한데, 다행스럽게도 '할퀴이다'라는 피동사가 있다. 하지만 생긴 지 얼마 안 돼 대개는 이런 말이 있는 걸 모른다. 그러니 <들판에 채소 뜨문뜨문/수해 할퀴인 상처 짐작> 같은 제목을 쓰는 신문이라면 믿어도 되겠다. 신문도 잘 골라 봐야 하는 요즘이다.
이진원 기자http:// jinwoni@busan.com
[우리말 바루기] 밤낮이 바꼈다고요(?)
초보 엄마·아빠에게 육아는 예측 불능의 가시밭길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힘든 것을 물어 보면 수면 부족이라 답하는 이가 많다. 육아 관련 게시 글을 보면 “아기가 밤낮이 바껴서 한숨도 못 잤어요” “밤에 보채는 아기 때문에 저도 밤낮이 바꼈어요” 등과 같이 고민을 토로하는 것을 쉽게 접할 수 있다.
‘바뀌다’를 활용할 때 위에서와 같이 ‘바껴서’ ‘바꼈어요’로 쓰는 사람이 있다. ‘바뀌어서’ ‘바뀌었어요’는 길어서 쓰기 불편하다고 생각해 줄여 사용하는 것일 테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바껴서’ ‘바꼈어요’를 분석해 보면 ‘바끼+어서’ ‘바끼+었어요’의 형태다. 즉 ‘바끼다’에 ‘-어서’ ‘-었어요’를 붙였다. 그러나 ‘바끼다’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바껴서’와 ‘바꼈어요’는 성립할 수 없다.
‘바뀌다’의 어간 ‘바뀌-’에 ‘ㅓ’를 붙여 줄여 쓸 경우 ‘ㅟ’와 ‘ㅓ’가 합쳐져야 하는데 이를 표기할 수 있는 한글은 없다. 다시 말해 ‘ㅟ’와 ‘ㅓ’는 합쳐지지 않으므로 ‘바뀌다’에 ‘ㅓ’를 붙여 활용할 땐 ‘바뀌어서’ ‘바뀌었다’로 적어야 한다.
이는 ‘할퀴다’와 ‘사귀다’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아기가 얼굴을 손톱으로 할켰어요” “비슷한 또래의 아기 친구 엄마를 사겼어요” 등처럼 쓰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 역시 ‘할퀴었어요’ ‘사귀었어요’가 바른 표현이다.
김현정 기자http:// nomadicwrite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