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살을 에는 추위
다음 중 바르게 표현된 것은?
㉠ 살을 에이는 추위
㉡ 길을 헤매이었다
㉢ 날이 개이었다
㉣ 면도날에 턱이 베이었다
올겨울 들어 최강 한파가 찾아왔다. 북극 한파가 몰려오고 바람까지 불면서 서울의 체감온도가 -26도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이렇게 추울 때는 바깥 공기를 좀 쐬면 정말로 살이 따가울 정도다. 이런 경우 ㉠처럼 ‘살을 에이는 추위’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칼로 살을 도려내는 듯한 추위라는 뜻이다. 하지만 ‘에이는’이 아니라 ‘에는’이 바른 표현이다. ‘에이다’가 아니라 ‘에다’가 기본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살을 에는 추위’라고 해야 한다.
‘㉡길을 헤매이었다’는 어떨까? 이 역시 ‘헤매이다’가 아니라 ‘헤매다’가 기본형이므로 ‘길을 헤매었다’고 해야 한다. 줄임말도 어려운데 ‘헤매었다’는 줄이면 ‘헤맸다’가 된다. ‘헤매였다’는 ‘헤매이었다’의 줄임말이므로 잘못된 표현이다.
‘㉢날이 개이었다’도 비슷한 형태다. 날씨가 맑아지다는 뜻의 단어는 ‘개이다’가 아니라 ‘개다’가 기본형이다. 따라서 ‘날이 개었다’고 해야 한다. ‘개었다’를 줄이면 ‘갰다’가 된다. ‘개였다’는 ‘개이었다’의 줄임말이므로 틀린 표현이다.
그렇다면 ‘㉣면도날에 턱이 베이었다’는 어떻게 될까? 이는 맞는 표현이다. 무엇을 끊거나 자르다는 뜻을 나타내는 단어는 ‘베다’가 기본형으로 “칼로 나무를 벴다” “낫으로 벼를 벴다”처럼 쓰인다. ‘베이다’는 ‘베다’의 피동형으로 ‘㉣턱이 베이었다’처럼 사용된다. 줄면 ‘턱이 베였다’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
배상복 기자http://sbbae@joongang.co.kr
'우리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이야기] `얽히고설키다`를 알면 우리말이 보인다 (0) | 2023.03.12 |
---|---|
[우리말 이야기] 모래야 나는 얼마큼 적으냐,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적으냐, 정말 얼마큼 적으냐… (0) | 2023.03.11 |
[우리말 이야기] 몇 해쯤 만나지 못해도 밤잠이 어렵지 않은 강, 아무려면 큰 강이 아무 의미도 없이 흐르고 있으랴 → ‘아무려면’과 ‘아무러면’ (0) | 2023.03.05 |
[우리말 이야기] 아메리칸 에어라인도 아시아나 노사분쟁과 비슷한 상황을 지난 2003년 초 힘겹게 치뤘다 (0) | 2023.03.05 |
[우리말 이야기] 면발은 붇고 다리는 붓는다 : ‘불어’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붇다’, ‘부어’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붓다’ (0) | 2023.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