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들르다’와 ‘들리다’
“퇴근길에 슈퍼에 들러 장을 봤다.” “퇴근길에 슈퍼에 들려 장을 봤다.”
위 문장 속 ‘들러’와 ‘들려’는 모두 ‘슈퍼에 잠깐 머무르다’란 뜻으로 쓰였다. 둘 중 바른 표현은 무엇일까.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란 뜻의 동사는 ‘들르다’이다. 한데 발음 때문인지 ‘들르다’를 써야 할 자리에 ‘들리다’를 쓰는 경우가 있다. ‘들르다’의 활용형인 ‘들러’, ‘들르니’ 등을 ‘들려’, ‘들리니’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들러’는 ‘들르다’의 어간 ‘들르-’에 어미 ‘어’가 붙을 경우 ‘으’가 탈락하면서 만들어진 형태로 “퇴근길에 슈퍼에 들러 장을 봤다”가 맞는 표현이다.
‘들리다’는 ‘듣다’ 또는 ‘들다’의 피동형 동사로 ‘병에 걸리다’, ‘사람이나 동물의 감각 기관을 통해 소리가 알아차려지다’, ‘손에 가지게 되다’ 등의 뜻을 지니고 있다. “감기가 들리다”, “어디선가 음악 소리가 들려 왔다”처럼 ‘들려’, ‘들리니’ 등으로 활용된다.
‘들르다’, ‘들리다’의 경우와 비슷한 예로 ‘몸을 가누어 움직이다’란 뜻의 ‘추스르다’가 있다. “며칠째 몸을 못 추스르고 누워만 있다”처럼 써야 할 것을 ‘추스리고’ 또는 ‘추슬리고’로 잘못 쓰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치르다’와 ‘잠그다’ 역시 마찬가지다. “내일까지 잔금을 ‘치러야’ 한다”를 ‘치뤄야’로 쓴다거나 “바람이 많이 부니 외투 단추를 ‘잠그고’ 가라”를 ‘잠구고’로 쓰는 것이다.
서울신문 오명숙 어문부장
'우리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이야기] 생사여탈권(?) (0) | 2022.05.03 |
---|---|
[우리말 이야기] '따 논 당상'이 아니라 '따 놓은 당상'이에요 (0) | 2022.05.03 |
[우리말 이야기] 그분, 이분, 저분 (0) | 2022.05.03 |
[우리말 이야기] 종갓집, 종잇장, 죗값, 주머닛돈, 주삿바늘, 처갓집, 군홧발, 귀갓길, 꼭짓점, 출셋길, 콧방귀 - 기와집, 농사일, 도매금, 동아줄, 머리기사, 머리말, 예사말, 화병, 전세방, 초가.. (0) | 2022.04.30 |
[우리말 이야기] 아니지 않느냐? 아니지 않으냐!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