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212 - `가능한`과 `가능한 한`
`가능한`과 `가능한 한`은 다르다. 단어와 구(句)라는 점뿐만 아니라 문장에서 하는 구실도 다르다.
`가능한`은 `가능하다`의 관형사형으로 이 말 뒤에는 `가능한 일[것 등]` `가능한 수단[조치.방법.경우 등]`처럼 `가능한`의 꾸밈을 받는 명사가 나와야 한다.
"가능한 수단과 방법을 모두 동원했지만 그녀를 설득할 수 없었다" "코트 어느 곳에서든 득점이 가능한 멀티 플레이어 재목들이 연달아 나왔다" 등은 바르게 쓰인 예다.
`가능한 한`은 `가능한 범위 안에서` 또는 `가능한 조건하에서`를 의미하는 부사구다. 따라서 그 뒤에는 `가능한 한`이 꾸밀 수 있는 부사어나 동작을 나타내는 말이 따라와야 한다. 그런데 `가능한 한`으로 써야 할 것을 맨 뒤의 `한`을 생략하는 경우가 눈에 자주 띈다.
"가능한 빨리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와 같은 문장에서는 `가능한`의 꾸밈을 받는 명사가 없다. 따라서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가능한` 뒤에 `한`(조건을 나타내는 명사)을 넣어 "가능한 한 빨리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라고 해야 바른 문장이다. 아래와 같은 문장에서도 `가능한`을 모두 `가능한 한`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잘못이나 문제점을 가능한 빨리, 정확하게, 나무라지 않으면서 설명한다." "제3국의 이미지를 깎아내리는 보도는 가능한 하지 말자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가능한`이 `가능한 한`을 대신할 수는 없다. 그 역(逆)도 마찬가지다.
2004/01/12중앙일보
'우리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이야기] '아닌'과 '아니라'의 차이 (0) | 2022.06.01 |
---|---|
[우리말 이야기] 제발 ‘된다’고 하지 마세요 (0) | 2022.05.30 |
[우리말 이야기] 하늘·날·달 등 우주천지가 ‘ㄹ’로 이뤄져 (0) | 2022.05.28 |
[우리말 이야기] ‘되도 그만 안 되도 그만’ (0) | 2022.05.25 |
[우리말 이야기] 지이산(智異山)을 ‘지리산’으로, 한나산(漢拏山)을 ‘한라산’으로 - 활음조(滑音調)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