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웃어른’과 ‘윗어른’
길었던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되면서 3년 만에 반가운 얼굴들을 직접 만나고 온 추석이었다. “고향 웃어른들께 오랜만에 인사를 드렸다” “친척 윗어른들을 모시고 다 함께 성묘를 다녀왔다”는 등 명절에 관한 이야기가 여기저기에서 들려온다.
이처럼 나이나 지위, 신분, 항렬 등이 자기보다 높은 어른을 나타낼 때 ‘웃어른’ 또는 ‘윗어른’이라 부른다. 둘 중 어느 것이 바른 표현일까.
‘웃어른’과 ‘윗어른’ 말고도 ‘웃-’을 써야 할지, ‘윗-’을 써야 할지 헷갈리는 단어가 꽤 있다. ‘웃마을/ 윗마을’ ‘웃사람/ 윗사람’ ‘웃도리/ 윗도리’ ‘웃돈/ 윗돈’ ‘웃목/ 윗목’ ‘웃니/ 윗니’ 등이 바로 이러한 예라 할 수 있다.
‘웃-’과 ‘윗-’을 구분하는 것은 어려워 보이지만 알고 보면 간단하다. 위와 아래의 구분이 분명한 말에는 ‘윗-’을 붙여 쓰고, 위와 아래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은 말에는 ‘웃-’을 붙여 쓰면 된다.
따라서 ‘윗마을/ 아랫마을’ ‘윗사람/ 아랫사람’ ‘윗도리/ 아랫도리’ ‘윗목/ 아랫목’ ‘윗니/ 아랫니’는 위와 아래의 구분이 명확한 단어이므로 ‘윗-’을 사용하면 된다.
‘웃돈’의 경우 ‘윗돈/ 아랫돈’과 같이 위와 아래로 구분할 수 없으므로 ‘윗돈’이 아닌 ‘웃돈’이라고 쓰는 것이 바르다. ‘웃거름’ ‘웃국’도 위와 아래의 대응이 없는 말이므로 ‘웃-’을 붙여 사용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아랫어른’이라는 표현이 없다는 것을 떠올려 보면 ‘윗어른’이 아닌 ‘웃어른’으로 쓰는 게 바른 표현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김현정 기자http:// nomadicwriter@naver.com
'우리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이야기] 해는 지고 사람 많은 항구에, 한 사람이 없네, 온 몸이 눈물이라 (0) | 2022.10.02 |
---|---|
[우리말 이야기] 붉은 색을 띈 이 식물은 소금끼가 있는 땅에서 자라는 염생식물입니다. (0) | 2022.09.25 |
[우리말 이야기] 모래야 나는 얼마큼 적으냐,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적으냐, 정말 얼마큼 적으냐…… (0) | 2022.09.18 |
[우리말 이야기] 하늘 빛깔로 함께 자고선, 토란잎이 물방울을 털어내기도 전에 (0) | 2022.09.14 |
[우리말 이야기] 꽃 꽃 꽃, 반나절도 안 돼서 뭔 꽃들이 그리도 피는지 (2) | 2022.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