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르다 「동사」
1 【…에/에게 …을】
주어야 할 돈을 내주다.
‧주인에게 내일까지 아파트 잔금을 치러야 한다.
‧점원에게 옷값을 치르고 가게를 나왔다.
2 【…을】
「1」 무슨 일을 겪어 내다.
‧시험을 치르다.
‧잔치를 치르다.
‧장례식을 치르다.
‧그렇게 큰 일을 치렀으니 몸살이 날 만도 하지.
‧방법이 좀 잔인했을 따름이지, 형은 자기가 저지른 죄과의 대가를 치른 거예요.≪채만식, 낙조≫
‧두 차례의 호란(胡亂)을 치러 물정이 몹시 어지럽던 시절….≪이문구, 오자룡≫
「2」 아침, 점심 따위를 먹다.
‧아침을 치르고 대문을 나서던 참이었다.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이야기] ‘아닐걸’은 ‘아니+ㄹ걸’ 형태다. ‘ㄹ걸’은 추측이나 아쉬움을 나타내는 어미다 (0) | 2023.04.02 |
---|---|
[우리말 이야기] 시진핑, 우크라 전쟁 이후 첫 방러. 푸틴에게 건넨 첫 마디는 (0) | 2023.03.21 |
[우리말 이야기] 면목동이 아직 거기 있을 때 내 눈에 콩깍지가 끼어 571번 버스 휑하니 먼지 일으키며 지나가는 그곳 여인숙 잠 많이 잤다. 밤새도록 창살에 달라붙어 울어제끼는… (0) | 2023.03.18 |
[우리말 이야기] `얽히고설키다`를 알면 우리말이 보인다 (0) | 2023.03.12 |
[우리말 이야기] 모래야 나는 얼마큼 적으냐,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적으냐, 정말 얼마큼 적으냐… (0) | 202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