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이후'와 '후'는 의미가 달라요
말을 할 때 정교한 구별이 필요하다. 속담에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는 말은 괜히 생긴 게 아니다. 우리말의 발전, 나아가 논리적·합리적 사고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임하게 됐다. 언론들은 지난 3월3일자에서 이 소식을 전했다. 한은 역사에서 총재가 연임한 경우가 드물어 이 뉴스는 더욱 화제가 됐다. 김유택 전 총재(1951년 12월18일~1956년 12월12일)와 김성환 전 총재(1970년 5월2일~1978년 5월1일)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사례라고 한다. 이것을 짧게 “이 총재 연임은 김유택, 김성환 전 총재 이후 세 번째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전/이후’는 기준 시점 포함해
언론사에 따라 이를 조금 달리 표현한 곳도 있었다. “이 총재 연임은 김유택, 김성환 전 총재 이후 처음이다.” 이는 맞는 것일까? 어찌 보면 두 사람이 연임한 뒤로는 처음이니 맞는 말인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동일한 문장에서 ‘처음’과 ‘세 번째’는 분명히 다르다. 둘 중 하나는 틀린 표현이지만 현실언어에서 우리는 이를 구별하지 않고 두루뭉술 섞어 쓰는 경향이 있다.
‘이전(以前)/이후(以後)’와 ‘전/후’는 엄연히 다른 말이다. 가령 “그는 2010년 이후 새벽 운동을 시작했다”라고 하면 2010년부터라는 뜻일까? 아니면 2011년부터를 뜻하는 것일까? 이전/이후는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해’ 말하는 것이다. 그러니 당연히 2010년부터 했다는 뜻이다. 이에 비해 ‘전/후’는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지 않는다. ‘2010년 후’라고 하면 2011년부터를 가리킨다.
별것 아닌 것 같지만 이 개념에 대한 이해는 글쓰기에서 매우 중요하다.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글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신문을 비롯해 인터넷에는 다음과 같은 식의 문장이 수두룩하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1월 고용동향’을 보면 실업자는 102만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2000명 늘었다. 1월 기준으로 2010년(121만8000명)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2010년 이후라고 하면 2010년 수치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가장 높은 게 아니다. 즉 ‘2010년(121만8000명)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라고 해야 정확한 표현이다. 이를 ‘2010년 후 가장 높은 수치다’라고 써도 된다.
정교한 언어 사용이 논리적 사고의 바탕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따라 오는 4월1일부터 다주택자에게 양도세 중과가 시행될 예정이다. 이를 다룬 다음 같은 글은 어떨까. “양도세가 중과되는 지역의 다주택자라면 4월 이전에 부담부증여를 하는 게 유리하다.” 가령 정확한 내용을 모르는 상태에서 이런 안내를 들었다고 치자. 이 설명대로라면 4월 이전, 즉 4월까지 증여하면 양도세 중과를 면할 수 있다는 뜻이 된다. 사실과 달라져 이 사람은 졸지에 중과된 양도세를 맞아야 한다. ‘이전’과 ‘전’이 가져오는 중대한 차이다. 같은 방식으로 ‘4월 이후 중과’는 4월부터, ‘4월 후 중과’는 4월을 넘긴 시점, 즉 5월부터임을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첫 사례로 돌아가 살펴보자. “이 총재 연임은 김유택, 김성환 전 총재 이후 세 번째다.” 이것은 바른 표현이다. 이를 “이 총재 연임은 김유택, 김성환 전 총재 이후 처음이다”라고 하면 틀린 말이 된다. 이를 다시 “이 총재 연임은 김유택, 김성환 전 총재 후 처음이다”라고 하면 맞는 말이다.
말을 할 때 이런 정교한 구별이 필요하다. 속담에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는 말은 괜히 생긴 게 아니다. 우리말의 발전, 나아가 논리적·합리적 사고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홍성호 기자http://hymt4@hankyung.com
[우리말 바루기] 내일 이후에는 가산금이 붙습니다
가을이 되면 집집마다 재산세 고지서가 날아든다. 그런데 고지서를 보면 납부 시한이 적혀 있다. 깜빡 잊어버리고 기일을 지키지 못하면 가산금이 붙어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한다. 이런 기한과 관련된 표현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손해를 보는 경우도 가끔씩 생긴다. 10월 2일 이전에 세금을 내면 가산금이 붙지 않는다는 공지를 봤을 경우 2일에 세금을 납부하면 불이익이 있을까.
‘이전(以前)’과 ‘이후(以後)’는 모두 기준이 되는 시점을 포함한다. 즉 이전은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여 그 전’이라는 뜻이고 이후는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여 그 후’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원서는 화요일 이후에 제출해 주십시오”란 안내문을 보았다면 화요일에 원서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앞의 세금과 관련된 사례 역시 기준일이 포함되기 때문에 10월 2일에 세금을 내도 불이익이 없다.
‘이상(以上)’과 ‘이하(以下)’도 기준이 포함된다. 놀이공원에 가면 키 제한이 있는 탈것이 있다. “이 시설은 키 130㎝ 이하인 사람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안내문이 걸려 있는 탈것에는 엄밀히 말하면 키가 130㎝인 사람도 이용이 제한된다. 물론 현실에서는 이 정도는 허용이 될 가능성이 많기는 하다. “1998년 이전에는 키가 196㎝ 이상인 사람은 군에 입대할 수 없었다”란 표현을 보자. 기준이 포함되므로 98년에는 키가 196㎝인 사람은 군대에 못 갔고 99년부터는 갈 수 있었을 것이다.
수량을 나타낼 때 이상·이하와 달리 기준을 포함시키지 않으려면 ‘초과(超過)’와 ‘미만(未滿)’을 쓰면 된다. “대한민국에서 투표일을 기준으로 만 19세 미만인 사람은 투표권이 없다”의 경우 ‘미만’은 기준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18세를 넘겨 19세에 하루 차이로 육박해도 투표권이 없다. 한편 “전용면적 25.7평을 초과하는 아파트를 가진 사람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의 경우 기준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25.7평은 소득공제 혜택의 대상이 된다.
중앙일보 2012 10 05
이후2(以後) 「명사」
「반대말」이전(以前)
「1」 이제부터 뒤.
이후 벌어진 어떤 일에도 나는 신경 쓰지 않겠다.
이후부터는 건강에 유의하십시오.
이후로 교세는 파죽지세로 온 섬을 석권할 게 틀림없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2」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여 그보다 뒤. ≒이강, 이후.
나는 너를 만난 이후로 가치관이 바뀌었다.
저녁 9시 이후로는 우리 집에 전화하면 안 된다.
그는 1970년대 중반 이후 글을 쓰지 않았다.
그 마지막 이후가 가장 좋은 찬스예요.≪황석영, 무기의 그늘≫
이동진을 김 훈장 방에서 만난 이후부터 길상은 서희가 두렵다.≪박경리, 토지≫
경호는 출가한 이후에, 자기를 동정한답시고 인사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질색할 노릇이었다.≪이기영, 고향≫
후8(後) 「명사」
「1」 뒤나 다음.
며칠 후에 다시 만납시다.
내가 십 분 후에도 돌아오지 않으면 먼저 출발해도 좋다.
그는 어머니가 입원하셨다는 소식을 한참 후에야 들었다.
과제를 마친 후에 밖에서 놀았다.
졸업한 후에도 계속 학생 시절에 사환으로 있었던 회사에 근무한 모양입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반대말」 전(前)
「2」 일이 지나간 얼마 뒤. =추후.
후에 연락하마.
후에 딴 말씀 하지 마십시오.
「3」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뒤나 다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
후더침.
후보름.
후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