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원 기자의 바른말 광] 담뱃재, 재떨이에 떨어라
얼마 전, 이르면 내년부터 삼성생명이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에게 더 많은 보험료를 부과할 것을 검토 중이라는 뉴스가 나왔다. '흡연자의 사망률이 비흡연자 사망률의 2배가 넘기 때문에 미국은 비흡연자 보험료가 흡연자보다 최고 40%까지 싸다'는 배경을 곁들인 뉴스였다.
담배 끊은 지 9년. '담배 끊은 사람과는 상종도 하지 마라'며 놀림 당하던 속이 이제 좀 풀리는 듯하다. 2000년만 해도 70% 가까웠던 우리나라 성인 남자 흡연율이 올해 40%까지 떨어졌으니 주변에 '상종 못할 사람'이 아주 많아졌다. 이러니 흡연자의 자리는 자꾸 쪼그라든다. 담배 한 대 피울라치면 옆 자리에서 흘겨보는 눈길이 사납다. 이런 간접흡연 외에 담배 피우는 사람이 범하기 쉬운 잘못 하나 더.
"저~ 담배 한 개피만 빌립시다."
"담배 한 가치 빌릴 수 있을까요."
'개피'는 잘못 쓴 말이다. 장작, 담배, 향처럼 가늘고 짤막하게 쪼갠 토막을 세는 단위로는 '개비'를 써야 한다. 헷갈린다면 '성냥개비'를 생각하면 될 일이다. '성냥개피'라 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테니…. '가치' 역시 표준어가 아니니 쓰지 말아야 한다. 북한에서만 표준어다.(그런데, '가치담배'는 국립국어원이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갑에 넣지 않고 낱개로 파는 담배'라는 풀이로 '버젓이' 올라 있어 좀 헷갈린다.)
흡연자가 잘못 쓰기 쉬운 말은 또 있다.
"담뱃재를 재털이에 잘 터는데도 우리 집사람은 불만이 많아."
'털다'는 '달려 있는 것, 붙어 있는 것 따위가 떨어지게 흔들거나 치거나 하다'이다. 반면 '떨다'는 '달려 있거나 붙어 있는 것을 쳐서 떼어 내다'라는 뜻. 즉, '가'에 '나'가 붙어 있다면 '가'는 털고 '나'는 떨어야 한다. 그러니 먼지 묻은 옷은 털고, 옷에 묻은 먼지는 떨어 내는 것. 밤나무를 털어서 밤을 떨어야 수확의 기쁨을 누릴 수 있다. 그러므로 곰방대나 담배를 털어서 담뱃재를 떨어야 정상이다. '재털이' 대신 '재떨이'로 써야 하는 것도 이런 까닭이다.
'먼지떨이' 역시 마찬가지. 예전에는 '먼지털이'나 '먼지채'도 모두 썼지만 지금은 '먼지떨이'만 표준어다.
2008/08/26 부산일보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먼지는 터는 게 아니라 떠는 거죠"
‘먼지떨이식 수사’에서 ‘-식’은 ‘방식’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그러니 도구(사물)인 ‘먼지떨이’에 붙는 것은 어색하다. 행위(동작)를 나타내는 ‘먼지떨기’에 붙을 때 자연스럽다. 정리하면 ‘먼지털이식 수사’는 다 틀린 말이다. ‘먼지떨기식 수사’라고 해야 바른말이다.
언론에서 많이 쓰는 표현 중 하나가 ‘먼지털이식 수사’다. 검찰의 수사행태를 비유적으로 꼬집은 말이다. 검찰에서 수사 성과를 내기 위해 혐의 대상자를 샅샅이 뒤진다는 뜻을 담고 있다. 무심코 보아 넘기기도 하지만 어법적으론 온당치 않은 표현이다. 우선 우리말에는 동사 ‘털다’와 비슷한 ‘떨다’가 있다. 따라서 ‘먼지털이식 수사’에서 그 말의 적정성 여부를 살펴야 한다.
그 다음 ‘먼지털이’는 ‘털다’를 명사형으로 바꿔 쓴 말인데, 우리말에는 이 경우 ‘털이’와 ‘털기’ 두 가지가 있다. 무엇을 쓰느냐에 따라 ‘말이 되는지’가 결정되므로 이 역시 따져봐야 한다.
‘먼지털이식 수사’는 틀린 말
‘털다’와 ‘떨다’의 차이부터 살펴보자. ‘털이’는 동사 ‘털다’에서 온 말이다. ‘털다’의 사전 풀이는 ‘달려 있는 것, 붙어 있는 것 따위가 떨어지게 흔들거나 치거나 하다’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이불을 털다/먼지 묻은 옷을 털다/노인은 곰방대를 털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등을 용례로 보이고 있다. 용례에는 공통점이 있다. ‘털다’는 어떤 몸체에 달려 있는 무언가를 떨어지게 하기 위해 그 몸체를 흔드는 것이라는 점이다. 즉 ‘턴다’는 것은 먼지가 아니라, 그 먼지가 묻은 옷이나 모자 따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떨다’는 ‘달려 있거나 붙어 있는 것을 쳐서 떼어 내다’란 뜻이다. 가령 ‘옷의 먼지를 떨다/담뱃재를 떨다/그는 모자 위에 쌓인 눈을 떨어냈다’처럼 쓰인다. 몸체에 ‘달려 있는 것’을 흔들어 떼어내는 게 바로 ‘떨다’다. 그러니 먼지는 ‘터는’ 게 아니라 ‘떠는’ 것이다. 구별해 쓰면 ‘옷이나 이불을 털다’고, ‘재나 먼지를 떨다’다. 두 말을 사용해 용례를 보이면 ‘옷을 털어 먼지를 떨어내다’ ‘담뱃대를 털어 담뱃재를 떨다’ ‘쓰고 있던 모자를 털어 쌓인 눈을 떨었다’가 된다. 따라서 ‘먼지털이식 수사’는 틀린 말이고, ‘먼지떨이식 수사’라고 해야 그나마 바른말에 가까워진다.
동작을 나타낼 때는 ‘떨기’라 써
이제 ‘떨이’와 ‘떨기’에 대해 알아보자. 결론부터 말하면 ‘먼지떨이식 수사’는 틀린 말이다. ‘-이’는 ‘사물’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재떨이, 옷걸이, 목걸이 같은 것을 생각하면 된다. 동사에 접미사가 붙어 명사가 됐으니 품사 자체가 바뀌었다. 마찬가지로 ‘먼지떨이(총채)’는 먼지나 재를 떠는 도구다. 이를 먼지털이(×), 재털이(×)라고 쓰지 않으니 조심해야 한다.
‘-기’는 용언 어간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다. 보통 ‘명사형 어미’라고 부른다. ‘밥을 빨리 먹기’ ‘하루에 한 시간 운동하기’ ‘밤 늦게 공부하기가 너무 힘들다’ 같은 데 쓰인 ‘-기’가 다 그것이다. 이런 말은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사전에 나오지 않는다. 얼마든지 만들어 쓸 수 있다. 따라서 먼지나 재를 떠는 행위를 나타내는 말은 ‘먼지떨기’가 된다. ‘-이’와 ‘-기’가 쓰인 예를 들어 보면, 때를 미는 사람은 때밀이, 때를 미는 행위는 때밀기다. 마찬가지로 옷을 거는 수단은 옷걸이, 옷을 거는 행위는 옷걸기가 되고 손톱을 깎는 도구는 손톱깎이, 손톱을 깎는 행위는 손톱깎기다.
‘먼지떨이식 수사’에서 ‘-식’은 ‘방식’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그러니 도구(사물)인 ‘먼지떨이’에 붙는 것은 어색하다. 행위(동작)를 나타내는 ‘먼지떨기’에 붙을 때 자연스럽다. 정리하면 ‘먼지털이(먼지털기/먼지떨이)식 수사’는 다 틀린 말이다. ‘먼지떨기식 수사’라고 해야 바른말이다.
한경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털다 「동사」
【…을】
「1」 달려 있는 것, 붙어 있는 것 따위가 떨어지게 흔들거나 치거나 하다.
이불을 털다.
먼지 묻은 옷을 털다.
노인은 곰방대를 털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떨다2 「동사」
1 【…을】
「1」 달려 있거나 붙어 있는 것을 쳐서 떼어 내다.
옷의 먼지를 떨다.
밤나무의 밤을 떨다.
담뱃재를 떨다.
그는 현관에서 모자 위에 쌓인 눈을 떨고 있었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이야기]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수 천, 수 만 번의 애닯고 쓰라린 잠자리 날개짓이 숨쉬고 있음을 (0) | 2022.08.28 |
---|---|
[우리말 이야기] 김 펄펄 나는 순댓국밥 내음 몰고 오는 비 (0) | 2022.08.15 |
[우리말 이야기] 바짓단을 늘이는 것일까? 늘리는 것일까? (0) | 2022.08.12 |
[우리말 이야기] 고랑은 오목한 골, 이랑은 볼록한 두둑 (0) | 2022.08.09 |
[우리말 이야기] 동치미는 이따가 입가심할 때나 먹고 곰국 물을 먼저 떠먹어야지.≪박완서, 도시의 흉년≫ (0) | 2022.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