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152 - `벌이다`와 `벌리다`
`벌이다`와 `벌리다`는 단어의 형태가 비슷해 혼동하기 쉽다. 하지만 이 두 단어는 의미가 서로 다른 별개의 낱말이므로 확실히 구분해 써야 한다.
㉮ "이미 벌려 놓은 굿판이니까 열심히 하는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 "21세기 역사의 선두 주자들은 정보기술혁명에 힘입어 새로운 힘으로 등장한 지식력을 활용, 문제를 더욱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치열한 각축전을 벌리고 있다."
㉰ "삼국지에서 영웅호걸들이 스케일 크게 벌이는 인간 드라마는 정말 흥미진진하다."
㉱ "그는 이야기를 한번 시작하면 벌린 입을 다물지 못한다."
㉮의 `벌려`는 `벌여`로, ㉯의 `벌리고`는 `벌이고`로 바로잡아야 한다. ㉰와 ㉱의 `벌이는`과 `벌린`은 바른 표현이다.
`벌이다`는 `일을 계획하여 시작하거나 펼쳐 놓다/여러 가지 물건을 늘어놓다(좌판을 벌이다)/전쟁이나 말다툼 따위를 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벌리다`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둘 사이를 넓히거나 멀게 하다(두 손을 벌리다)/열어서 속의 것을 드러내다(밤송이를 벌리다)/우므러진 것을 펴서 열다(자루를 벌리다)`의 뜻이 있다. 이 `벌리다`의 반대말은 `오므리다` `닫다` `다물다`이다. 둘째, (돈을) `벌다`의 피동형인 `벌리다`(새로 시작한 일은 돈이 잘 벌린다)가 있다.
대체로 일이나 잔치. 사업. 조사. 좌판. 싸움. 논쟁 등에는 `벌이다`를, 간격. 차이. 손. 양팔. 입. 틈새 등에는 `벌리다`를 쓰면 된다.
2003/10/13 중앙일보
벌이다 「동사」 「1」 일을 계획하여 시작하거나 펼쳐 놓다.
벌리다1 「동사」
「1」 둘 사이를 넓히거나 멀게 하다
「3」 우므러진 것을 펴지거나 열리게 하다.
‧양팔을 옆으로 벌리다.
벌-리다2 「동사」 일을 하여 돈 따위가 얻어지거나 모이다. ‘벌다’의 피동사.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이야기] 나무들은 물 버리느라 바쁘고, 동네 개들도 본 체 만 체다 (2) | 2022.11.13 |
---|---|
[우리말 이야기]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보리라 (2) | 2022.11.09 |
[우리말 이야기] 자정 넘으면, 낯설음도 뼈아픔도 다 설원인데 (0) | 2022.11.06 |
[우리말 이야기] 더이상 손바닥에 못 박히지 말고 손에 피 묻히지 말고 (0) | 2022.11.06 |
[우리말 이야기] 어디만큼 왔나 어디까지 가야, 강물은 바다가 될 수 있을까 (0) | 2022.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