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안되다’와 ‘안 되다’ “이렇게 장사가 안된 적은 처음이다.” 우리말에는 띄어쓰기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것들이 있다. ‘안 되다’와 ‘안되다’도 그중 하나다. 먼저 동사 ‘안되다’는 ‘일, 현상,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는 뜻으로 ‘잘되다’의 반대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올해는 비가 너무 많이 와서 과일 농사가 안돼 큰일이다”는 과일 농사가 썩 잘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예문의 “이렇게 장사가 안된 적은 처음이다”도 장사가 잘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못하다’, ‘일정한 수준이나 정도에 이르지 못하다’란 뜻을 나타낼 때도 ‘안되다’를 쓴다. “자식이 안되기를 바라는 부모는 없다”, “이번 시험에서 우리 중 안되어도 세 명은 합격할 것 같다”처럼 쓰인다...